추천게시물

지방세 체납 확인 및 바로 납부하기

 여러분, 지방세 납부 하셨나요? 저는 얼마안되는 지방세 였지만 고지서를 확인했던 기억이 있는데 냈는지, 안냈는지 기억이 안나서 홈페이지에 들어갔더니 역시나 체납이라고 뜨더라고요. 저처럼 깜박하지 마시고 바로 납부하세요. 만약 깜박하고 납부를 하지 않으셨나요? 아래에 제가 납부했던 방법을 정리했으니 바로 납부하세요. 지방세 체납 확인 및 납부 바로가기 지방세 납부 홈페이지 지방세 체납과 납부를 온라인으로 바로 하실 수 있습니다. 많이 사용하는 홈페이지 중에서 지방세는 위택스에서 업무를 보실 수 있습니다. 위택스 홈페이지:  https://www.wetax.go.kr/main.do 위텍스 홈페이지 바로가기 지방세 체납 확인하기 1. 위택스 홈페이지에 로그인 합니다. 위택스 홈페이지로 이동하셨나요? 이동해서 로그인을 하니 오른쪽에 파란색 화면으로 떡하니 나의 할일 지방세에 숫자 '1'이 쓰여져 있더라고요. 바로 눌러보았습니다. 먼저 위택스 홈페이지에서 저는 금융인증서로 로그인 했어요. 요즘은 공인인증서가 없어도 금융인증서로그인 만으로도 간단한 온라인 업무는 다 볼 수 있으니 정말 편리한 것 같아요. 2. 나의 위택스를 눌러 이동합니다. 1번에서 처럼 로그인을 하면 바로 나의 할 일이라는 목록이 한눈에 보이지만 맨위 메뉴에서 나의위택스를 눌러주면 아래 화면같이 나타납니다. 나의 할일 목록이 나오는데 최근 10년동안의 정보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바로 보이는 지방세 체납부분을 확인 합니다. 금액을 누르면 다음화면으로 이동합니다. 3. 체납금액과 납부상태(체납)를 확인 합니다. 위택스홈페이지에 로그인하면 바로 나의 알림에 표시되기도 하고, 나의위택스에 들어가도 나오지만 다른방법으로 찾는방법은 납부-납부대상확인-지방세로 들어가서 확인 하면 됩니다. 4. 체크박스 체크후 전자납부번호를 눌러 이동후 납부를 눌러줍니다. 위에서 체크박스에 체크 후에 전자납부번호를 눌러주면 납세고지서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이때 납부금액과, 과세기관, 과세번호, 과세금액, 가산금...

노인일자리 홈페이지 바로가기 장기요양등급 노인일자리 가능

 노인일자리 홈페이지에서 나에게 적합한 직업을 검색 해서 보실 수 있습니다. 


아래 버튼을 클릭 하시면 노일일자리 홈페이지로 바로 이동합니다.


노인일자리 신청자격

노인일자리는 만 60세 ~65세 이상의 어르신들이 신청 할 수 있는 일자리 입니다. 시니어를 대상으로 하는 일자리들이 많이 있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일을 하기 위해 신체가 건강하고 일하기에 지장이 없어야 합니다.

우선선발로 독거노인, 경제능력이 없는 다른 가족과 함께 거주하고 살고 있는 노인을 대상으로 우선선발 자격 조건이 됩니다.


노인 일자리 제외 대상

노인일자리 참여 가능한 대상도 중요하지만 하고 싶어도 참여 할 수 없는 분들이 있습니다. 신청 시점에 생계급여를 받고 있는 수급자이시면 노인 일자리에 참여 하실 수 없습니다.

또한 현재 노인 일자리에 참여 중이신분, 국민건강보험직장가입자 또한 선발기준에서 제외 되기 때문에 신청 하실 수 없습니다.


장기요양등급판정 후 노인일자리 신청 가능여부

장기요양등급 판정을 받으신 분들은 신체가 건강하지 못한 경우가 많습니다. 요양보호사가 집에 오셔서 도움을 받고 있으신 분들은 노인 일자리 신청 자격에서 제외 대상입니다. 

노인일자리라고 해서 슬슬 간단한 업무는 하실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에 많이들 문의 하신다고 해요. 하지만 아무래도 나라에서 다른 정부지원도 받고 있기도 하고 건강상의 문제가 염려되어 제한되고 있습니다.


노인일자리 신청방법

노인일자리는 노인일자리여기 홈페이지에서 상시적으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현재 거주하고 있는 지역의 주소지와 직업을 직접 검색해서 보실 수 있습니다.


각 지역에 노인일자리사업을 위탁받아 운영하고 있는 사업수행기관이 있습니다. 사업수행기관이나 시청과 군청, 구청에 직접 방문해서 상담 하시면 도움이 됩니다.


노인일자리 사업유형

노인일자리라고 해서 포괄적으로 단어를 사용하고 있지만 5개 유형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공익활동형, 사회서비스형, 시장형, 취업알선형, 시니어인턴쉽형 등으로 되어 있습니다.


1. 지역사회에 공헌하는 공익활동

  • 참여연령: 만 65세 이상 기초연금수급자
  • 활동내용: 노노케어, 취약계층지원, 공공기설 봉사, 경륜전수 활동
  • 활동기간: 10~12개월
  • 활동시간: 월 30시간 이상(일3시간 이내)
  • 활동비: 월 29만원


2. 사회서비스형

  • 참여연령: 만 65세이상
  • 근무내용: 교육시설, 학습보조, 시니어컨설턴트, 취약계층 공익증진 서비스, 노인맞춤돌봄서비스 등
  • 근무기간: 10개월
  • 근무시간: 월 60시간
  • 급여: 월 76만원(근로계약에 따라 달라짐)


3. 시장형

  • 참여연령: 만 60세 이상
  • 근무내용: 소규모 매장(식품제조, 카페 등)및 아파트 택배, 지하철 택배 등(근무시간, 기간, 급여는 근로계약에 따라 다름)

4. 취업알선형

  • 참여연령: 만 60세이상
  • 근무내용: 시험감독관, 주유원, 단순노무직(경비 등), 관리사무직 등(근무기간, 시간, 급여 다름)

5. 시니어인턴십

  • 참여연령: 만60세이상
  • 근무내용: 버스 운전원, 조리사, 제조 종사자, 서비스직 등(제외직종 30개 외 기업직종에 따라 참여 가능)
  • 근무기간, 시간, 급여는 기업 근로계약에 따라 다름

주변에 벌써 부모님들이 노인일자리를 해야 하는 연령이 되셔서 관심갖게 되더라고요. 부모님 본인들이 직접 노인복지관 같은곳에 방문해서 또는 시청이나 주민센터에 직접 찾아가셔서 하는 경우도 많이 있으십니다.

인터넷으로도 바로 확인 하실 수 있으니 정보먼저 확인 하시고 또는 문의 하시고 방문하셔서 헛걸음 하시지 않고 일자리참여로 건강한 노년생활을 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