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게시물

지방세 체납 확인 및 바로 납부하기

 여러분, 지방세 납부 하셨나요? 저는 얼마안되는 지방세 였지만 고지서를 확인했던 기억이 있는데 냈는지, 안냈는지 기억이 안나서 홈페이지에 들어갔더니 역시나 체납이라고 뜨더라고요. 저처럼 깜박하지 마시고 바로 납부하세요. 만약 깜박하고 납부를 하지 않으셨나요? 아래에 제가 납부했던 방법을 정리했으니 바로 납부하세요. 지방세 체납 확인 및 납부 바로가기 지방세 납부 홈페이지 지방세 체납과 납부를 온라인으로 바로 하실 수 있습니다. 많이 사용하는 홈페이지 중에서 지방세는 위택스에서 업무를 보실 수 있습니다. 위택스 홈페이지:  https://www.wetax.go.kr/main.do 위텍스 홈페이지 바로가기 지방세 체납 확인하기 1. 위택스 홈페이지에 로그인 합니다. 위택스 홈페이지로 이동하셨나요? 이동해서 로그인을 하니 오른쪽에 파란색 화면으로 떡하니 나의 할일 지방세에 숫자 '1'이 쓰여져 있더라고요. 바로 눌러보았습니다. 먼저 위택스 홈페이지에서 저는 금융인증서로 로그인 했어요. 요즘은 공인인증서가 없어도 금융인증서로그인 만으로도 간단한 온라인 업무는 다 볼 수 있으니 정말 편리한 것 같아요. 2. 나의 위택스를 눌러 이동합니다. 1번에서 처럼 로그인을 하면 바로 나의 할 일이라는 목록이 한눈에 보이지만 맨위 메뉴에서 나의위택스를 눌러주면 아래 화면같이 나타납니다. 나의 할일 목록이 나오는데 최근 10년동안의 정보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바로 보이는 지방세 체납부분을 확인 합니다. 금액을 누르면 다음화면으로 이동합니다. 3. 체납금액과 납부상태(체납)를 확인 합니다. 위택스홈페이지에 로그인하면 바로 나의 알림에 표시되기도 하고, 나의위택스에 들어가도 나오지만 다른방법으로 찾는방법은 납부-납부대상확인-지방세로 들어가서 확인 하면 됩니다. 4. 체크박스 체크후 전자납부번호를 눌러 이동후 납부를 눌러줍니다. 위에서 체크박스에 체크 후에 전자납부번호를 눌러주면 납세고지서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이때 납부금액과, 과세기관, 과세번호, 과세금액, 가산금...

의료비 환급금 조회 신청 바로가기

 정부에서  의료비 환급금으로 건강보험 환급금을 신청해서 받을 수 있습니다. 


단 1분 만에 의료비 환급금을 찾을 수 있으니 내 환급금이 사라지기 전에 찾아가세요.


누리집 홈페이지에서 의료비 환급금 신청하기

국민건강보험 누리집 홈페이지에서 환급금(지원금) 조회/신청으로 들어가시면 됩니다.






간편인증 또는 공동금융인증서로 로그인 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요즘 많은 서비스들이 간은행가는 번거로움 없이 공동인증서가 없어도 간편인증서 만으로도 인증이 가능해서 정말 편리하게 로그인하고 많은 지원금에 대해 조회가 가능합니다.


간편인증을 한번도 안해 보셨던분들은 아래로 이동해서 간편인증 로그인 방법을 확인 하시고 오시면 더욱 편하게 하실 수 있습니다.



정말 1분만에 로그인부터 의료비 환급금 조회 신청이 가능합니다. 저는 국민건강보험 환급금이 없어서 신청가능한 환급금(지원금) 내역이 없습니다. 라고 나오네요. 환급금 신청 총 0건/0원 이래요. 

하지만 정말 1분만 투자해서 환급금을 최대 100만원까지 받을 수 있으니 지나치지 마시고 꼭 확인 하셔서 놓지는 지원금이 없으시길 바랍니다.


오프라인 병원비 환급 신청하기

인터넷으로 조회하고 신청하면 3분도 채 걸리지 않지만 컴퓨터나 휴대폰으로 신청하는 것이 더 어려운 분들이 있으실 거예요. 그런 경우에도 걱정하지 마세요. 팩스나 전화, 우편으로 신청이 가능합니다.

1577-1000으로 연락하셔서 문의 하시면 됩니다.


의료비 환급금 본인부담상한제란

의료비 환급금을 받을 수 있는 대상은 어떻게 결정되는 것일까요? 국민건강보험 가입자가 연간 자신의 부담한 의료비가 일정한 금액을 초과했을 경우에 초과한 금액 만큼 국민건강보험 공단에서 의료비 환급금이라는 명목으로 그동안 지급했던 병원비 환급을 해주는 지원금입니다. 개인이 느끼는 의료비에 대한 부담을 완화하고자 운영되는 제도 입니다. 의료비 환급을 받으라는 안내문을 받으신 분들도 계실 텐데요. 깜박 하고 확인을 안 하셨던 분들도 이제라도 확인 해 보세요. 특히 어르신들의 경우 무슨 말인지 몰라서 그냥 우편물을 버리는 경우도 있는데요. 한번 확인 해보시고 자녀나 주변 지인의 도움을 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