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게시물

지방세 체납 확인 및 바로 납부하기

 여러분, 지방세 납부 하셨나요? 저는 얼마안되는 지방세 였지만 고지서를 확인했던 기억이 있는데 냈는지, 안냈는지 기억이 안나서 홈페이지에 들어갔더니 역시나 체납이라고 뜨더라고요. 저처럼 깜박하지 마시고 바로 납부하세요. 만약 깜박하고 납부를 하지 않으셨나요? 아래에 제가 납부했던 방법을 정리했으니 바로 납부하세요. 지방세 체납 확인 및 납부 바로가기 지방세 납부 홈페이지 지방세 체납과 납부를 온라인으로 바로 하실 수 있습니다. 많이 사용하는 홈페이지 중에서 지방세는 위택스에서 업무를 보실 수 있습니다. 위택스 홈페이지:  https://www.wetax.go.kr/main.do 위텍스 홈페이지 바로가기 지방세 체납 확인하기 1. 위택스 홈페이지에 로그인 합니다. 위택스 홈페이지로 이동하셨나요? 이동해서 로그인을 하니 오른쪽에 파란색 화면으로 떡하니 나의 할일 지방세에 숫자 '1'이 쓰여져 있더라고요. 바로 눌러보았습니다. 먼저 위택스 홈페이지에서 저는 금융인증서로 로그인 했어요. 요즘은 공인인증서가 없어도 금융인증서로그인 만으로도 간단한 온라인 업무는 다 볼 수 있으니 정말 편리한 것 같아요. 2. 나의 위택스를 눌러 이동합니다. 1번에서 처럼 로그인을 하면 바로 나의 할 일이라는 목록이 한눈에 보이지만 맨위 메뉴에서 나의위택스를 눌러주면 아래 화면같이 나타납니다. 나의 할일 목록이 나오는데 최근 10년동안의 정보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바로 보이는 지방세 체납부분을 확인 합니다. 금액을 누르면 다음화면으로 이동합니다. 3. 체납금액과 납부상태(체납)를 확인 합니다. 위택스홈페이지에 로그인하면 바로 나의 알림에 표시되기도 하고, 나의위택스에 들어가도 나오지만 다른방법으로 찾는방법은 납부-납부대상확인-지방세로 들어가서 확인 하면 됩니다. 4. 체크박스 체크후 전자납부번호를 눌러 이동후 납부를 눌러줍니다. 위에서 체크박스에 체크 후에 전자납부번호를 눌러주면 납세고지서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이때 납부금액과, 과세기관, 과세번호, 과세금액, 가산금...

주민등록 등본 카카오톡으로 즉시 발급 가능한 방법

다자녀확인, 아이들 나이 확인 할때 주민등록 등본이 갑자기 필요한 경우가  자주 생기더라고요. 그래서 등본을 들고 다닐 필요 없이 갑자기 필요할 때 발급 받을 수 있는 방법을 정리 했습니다. 

1. 카카오톡 어플에서 지갑을 눌러 줍니다.

카카오톡어플에 들어가서 오른쪽 아래에 점세개...더보기를 눌러줍니다. 이동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는데 지갑을 눌러서 들어가줍니다.



주민등록등본_카카오톡


2. 전자문서 전자증명서를 눌러줍니다.


맨위에 전자문서를 누른 후 아래 전자증명서를 누르면 다음화면으로 이동이 됩니다. 

주민등록등본_카카오톡

3. 발급신청을 눌러준 다음 주민등록 등본을 눌러 이동합니다.

주민등록등본 외  건강보헌 자격득실확인서, 주민등록등초본, 학교 생활기록부등의 다양한 증명서를 편리하게 발급 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민등록등본_카카오톡


4. 주민등록에 등록되어 있는 주소를 입력하고 기본발급이나 선택발급을 선택 후 인증 후 신청하기를 눌러줍니다.


주민등록상 주소에는 현재 살고 있는 주민등록상의 주소를 입력하면 됩니다. 대부분 기본발급을 많이 하는것 같아요. 다음으로는 카카오-행정안전부 제3자 제공동의에 노란색 체크가 되도록 눌러줍니다. 체크 확인 후 인증 후 신청하기를 눌러 다음으로 이동합니다.

주민등록등본_카카오톡



5. 인증완료 메시지가 뜨면 확인 버튼을 눌러줍니다.


인증이 완료되었습니다. 메시지가 뜹니다. 확인 버튼을 눌러 증명서 발급을 완료 합니다. 발급완료 후 바로 등본이 보여지며 보내기, 저장하기 등이 가능합니다.


주민등록등본_카카오톡



이제 주민등록등본이 갑자기 필요 할 때 당황하지 마시고 카카오톡으로 발급해 바로 활용 해 보세요. 저는 정말 잘 쓰고 있는 방법입니다. 참고로 본인명의의 휴대폰일 경우만 가능하니 알고계시면 좋을것 같습니다.